2020. 5. 3. 22:34ㆍ웹개발 개인공부
오늘은 Context의 개념에 대해 공부를 했다.
우리가 웹 서버를 운영하는데 규모가 커져서 디렉터리 관리가 힘들어질 수 있다.
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고 한 팀, 한 부서 이런 식으로 분담이 될 수 있는데 이런 식으로 일을 진행한다 하면 각자의 영역에서만 작업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괜히 다른 사람 작업 영역에서 하다가 서로 혼란스러운 일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니까.
그렇기 때문에 디렉터리 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게 가상의 디렉터리를 만들어주는 걸 Context라고 한다.
겉으로 봐서는 디렉터리를 타고 들어가 하위 디렉터리로 간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런 디렉터리는 없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보는 것과 서버 입장에서 보는 것이 다른 것이다.
context를 하는 방법은
conf 폴더 안의 server.xml에 들어가서 컨텍스트를 추가한다는 코드를 넣어주면 된다.
<Host name="localhost" appBase=" D:\home ">
<Context path="academy" docBase="E:\academy\root" privileged="true"/>
</Host>
하지만 현재는 톰캣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이러한 방식의 context는 지양하라고 한다. 왜냐하면 Context를 추가할 때마다 서버를 끄고 켜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중인 웹 서버라면 불편하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Context를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에 대해선 나중에 다루기로 한다.
'웹개발 개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블릿 객체 생성과 실행 방법 (0) | 2020.05.05 |
---|---|
처음으로 서블릿 프로그램 만들어보기 (0) | 2020.05.05 |
톰캣으로 웹문서 추가해보기 (0) | 2020.05.02 |
톰캣 9 설치하기 (0) | 2020.05.01 |
웹 서버 프로그램과 servlet (0) | 2020.04.30 |